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하는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MAB : Man and the Biosphere) 사업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뛰어난 육상 및 해양 생태계를 말합니다.
생물권보전지역의 기능
보전(Conservaiton) : 유전자원, 종, 생태계, 경관 등을 보호하는 기능
발전(Development) : 사회문화적,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와 인간의 발전
지원(Logistic Support) : 시범사업, 환경교육 및 훈련,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차원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발전 관련 이슈들에 관한 연구와 모니터링 등을 지원하는 기능
생물권보전지역의 용도지역
핵심지역(Core Area) :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한 곳으로서, 생태계의 모니터링, 조사연구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는 법적 수단에 의해 엄격히 보호되는 지역
완충지대(Biffer Zone) :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인접해 있는 곳으로서, 환경교육, 휴양, 생태관광, 기초 및 응용연구 등의 생태적으로 건전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경계가 명확히 구분되는 지역
전이지역(Transition Area) / 협력지역(area of cooperation) : 농경지와 주거지, 기타 여러 용도로 이용되며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관리당국, 학자, 비정부기구, 이해관계자 등이 공조하는 지역
신안 다도해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일 : 2016년 3월 19일
규모 : 육상지역 668.31㎢, 갯벌 352.50㎢, 해상 2,217.93㎢ 등
핵심지역(209.99㎢) : 흑산, 홍도 등 국립공원 육지지역과 지도 등 10개 읍면 갯벌도립공원의 갯벌, 가거도 해양보호구역
완충지대(1,252.14㎢) : 국립공원과 갯벌도립공원, 육지지역 외곽의 해상지역
전이지역(1,776.61㎢) : 보호지역 외의 육지지역과 해상
지역 : 신안군 흑산 홍도, 비금 도초 등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 장도 산지습지, 증도면 갯벌도립공원, 태평염전 등
특징 : 수많은 섬으로 둘러쌓인 갯벌,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물길이 복잡한 바다가 독특한 지형학적, 생태학적 다양성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바다와 갯벌, 토지, 숲의 복합적 생태계가 특유의 섬 문화를 형성하고 있음
→ 넓은 갯벌과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이 포함된 섬 지역이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것은 처음입니다.
지정 현황도
핵심지역(Core Area) :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한 곳으로서, 생태계의 모니터링, 조사연구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는 법적 수단에 의해 엄격히 보호되는 지역
완충지대(Biffer Zone) :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인접해 있는 곳으로서, 환경교육, 휴양, 생태관광, 기초 및 응용연구 등의 생태적으로 건전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경계가 명확히 구분되는 지역
전이지역(Transition Area) / 협력지역(area of cooperation) : 농경지와 주거지, 기타 여러 용도로 이용되며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관리당국, 학자, 비정부기구, 이해관계자 등이 공조하는 지역
생물권보전지역내 천일염 현황
생물권보전지역내 천일염 현황으로 염전 가동면적, 생산업체수, 15년 생산량(톤)을 나타낸 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