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 HOME
  • 갯벌알기
  • 갯벌의 역할

갯벌의 역할

어민의 삶의 터전

어민의 삶의 터전 갯벌 이미지
어민의 삶의 터전 갯벌

갯벌이 있는 서남해안 갯벌 주변 마을에는 아직도 갯벌을 주 소득원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갯벌은 결코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누구나 열심히 일하면 그 만큼의 대가는 제공받는 곳이기도 합니다.
갯벌에서의 소득활동은 낙지잡이, 갯지렁이 채취, 패류양식 등 본인 노동력의 여하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소득액의 차이 역시 개인별 여건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납니다.
서해안 갯벌에서의 대표적인 소득원은 낙지, 백합, 바지락, 굴, 김 생산 등이 있습니다.

자연생물의 서식지 및 생산지

다양한 갯벌 생물들 이미지

다양한 갯벌 생물들

갯벌에 가면 그 곳에 의외로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물들은 서식지에 의존하며 살아가므로 다양한 모습의 서식지를 가지고 있는 갯벌에서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기 마련입니다. 상업성의 대표적인 어류나 게, 새우류 등은 갯벌에서 알을 낳거나 어린시기를 보냅니다.
우리 식탁에 오르내리는 해산물의 2/3이상이 바로 갯벌이나 염습지 식생에서 생의 일부를 보내는 종들입니다.
갯벌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환경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육지의 풍부한 영양염류가 집적되어 어류 200여종, 갑각류 250여종, 연체동물 200여종 갯지렁이 100여종 바다새 120여종 등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보금자리인 것입니다. 또한 갯벌지역은 대부분의 해안생물과 조류들의 먹이 섭취장소이고 번식장소 입니다.

오염물질의 정화

자연 정화기능을 갖춘 갯벌 이미지
자연 정화기능을 갖춘 갯벌

갯벌의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는 우리 인간의 몸에 콩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을 정도의 우수한 오염물질 정화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몸에서 생기는 각종 노폐물을 콩팥에서 걸러주듯 갯벌은 육지에서 나오는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정화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하천을 따라 흘러들어온 각종 육지의 오염물질은 곧바로 갯벌지역과 만나게 되고 갯벌에서 살고 있는 생물들에 의해서 대부분 분해되고 정화됩니다.
갯벌 1㎢에 있는 미생물의 오염물질 분해 능력은 도시하수처리장 1개의 처리능력과 비슷하고 500마리의 갯지렁이는 하루에 한사람이 배출한 2kg의 배설물량을 정화시킨다고 합니다.
실제로 갯벌에서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것은 미생물과 갯지렁이 이외에도 많은 요인이 있으므로 정화능력은 밝혀진 것보다 훨씬 많습니다.

홍수 및 태풍의 조절 기능

어민의 삶의 터전 갯벌 이미지
홍수 및 태풍 조절기능을 갖춘 갯벌

갯벌은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 사이에 놓여 있어 두 환경사이에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그 지역의 수계의 흐름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홍수 때에는 마치 스펀지처럼 빗물을 흡수한 뒤 천천히 내보낼 수 있고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수위를 낮출 수 있어 강의 하구나 바닷가의 침식을 막고 홍수 피해도 최소화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갯벌은 럽고 평탄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강한 물결을 잘게 부숴 태풍이나 해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완충 역할을 합니다.

자연학습 및 여가활동의 장

순천만 갈대군락 탐방 모습 이미지
순천만 갈대군락 탐방 모습

최근 들어 생태관광의 개념 도입과 갯벌의 보전가치가 재평가되면서 갯벌은 휴식과 여가 활동의 장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은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아주 광할한 면적과 여기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갯벌 생물들의 보고로써 생태체험 학습장으로 활용가치가 큽니다.
또한 서해안 갯벌은 낚시나 해수욕장, 체험학습장 등을 제공하는 레저 공간으로서 이용 개발이 용이하여 날로 그 가치는 증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업데이트 일시 : 2022/11/17 14:36:52